건강

ADD증후군과 add 증상에 대해 궁금하다면?!

RU_Rich 2025. 3. 13. 00:10
반응형

경기가 좋은 않은 요즘, 많은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대해 얘기를 하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많은 직장인들이 고용에 대한 불안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오늘은 사회와 밀접해 있는 add 증후군과 add 증상에 대해 얘기를 해보려고 해요!

 

 


먼저, add 증후군이란?

 - add 증후군이란, after downsizing desertification syndrome의 약자이며 기업의 대규모 구조조정 후 기업에 남은 조직 구성원들이 겪는 정신의 황무지 현상을 말해요. 특히 이 신드롬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의 일종이에요. 국제통화기금 한파 이후 대규모 구조조정이 일어나면서 생긴 현상으로, ADD신드롬이라고도 해요.

 


1. add의 특징과 주요 원인

 1-1. 특징

  1) 업무 과부하 : 남은 직원들이 떠난 직원들의 업무까지 감당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업무의 과부하를 불러와요.

  2) 사기 저하 : 기존에 같이 일하던 동료의 퇴사로 인해 불안감이 커지고 조직의 충성도가 낮아져요.

  3) 생산성 감소 : 조직 내 인력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이는 곧 생산성 감소로 이어져요.

  4) 소통 단절 : 부서 간 협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소통이 단절되어 업무에 많은 차질을 불러와요.

 

 1-2. 원인

  1) 급격한 구조조정

   - 직원 수를 급격하게 줄일 경우 남아 있는 직원들의 업무 부담이 급증해요.

   - 핵심 인력까지 줄어들 경우, 기존 시스템이 무너질 위험 존재해요.

 

  2) 명확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

   - 경영진이 다운사이징의 이유와 비전을 명확히 전달하지 않으면 불신이 커져요.

   - 투명한 의사소통 부재로 인해 직원들의 불안감 상승해요.

 

  3) 조직 문화의 변화

   - 기존 팀워크가 붕괴되면서 새로운 협업 방식이 정착되지 않아요.

   - 조직 내 신뢰가 낮아지고 이직률 증가해요.

 

  4) 직무 만족도 저하

   - 남아 있는 직원들이 생존자 죄책감(Survivor’s Guilt)을 느끼고 동기부여 감소해요.

   - 추가적인 보상이나 인정 없이 업무 강도가 높아지면서 스트레스 증가해요.

 

 


2. add 증상

 2-1. 기업 차원의 문제

  1) 직원들이 과중한 업무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아요.

  2) 팀 내 업무 분배 불균형으로 인한 불만 상승하기 때문에 사내 갈등이 증가할 가능성이 커요.

  3) 기존보다 적은 인력으로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객 서비스가 저하될 가능성이 높아요

 

 2-2. 직원 개개인의 문제

  1) 과도한 업무 부담으로 인해 정신적·육체적 피로가 심화되어 스트레스 및 번아웃이 증가될 가능성이 커요.

  2) 조직에 대한 신뢰가 낮아지며 퇴사 고려해 동기 부여가 저하될 가능성이 커요.

  3) 업무 환경 변화로 인해 기존 동료와의 관계가 소원해져 직장 내 인간관계가 변화돼요.

 


3. add 해결책

 기업과 개인 모두 ADD 증후군과 신드롬을 극복하기 위해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데요. 기업과 개인으로 나누어 알려드릴게요.

 

 3-1. 기업의 해결책

  1) 구조조정의 이유와 비전을 직원들에게 투명하게 설명을 하고 공유함으로써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이 되어야 해요.

  2) 업무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새로운 역할 분배와 인력 확보를 하여 업무 재배치 및 지원을 해줘야 해요.

  3)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유연 근무제를 도입하는 등의 사내 복지를 강화해야 해요.

  4) 직원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동기부여 할 수 있도록 리더십 강화 교육 제공을 통해 리더십 역할을 강화시켜야 합니다.

 

 3-2. 개인의 해결책

  1)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명상이나 운동을 통해 자기 관리를 강화해야 해요.

  2) 불필요한 업무를 줄이고 중요한 일에 집중을 하여 업무 우선순위 설정을 해야 합니다.

  3) 새로운 기술 습득 및 자기 계발을 통해 커리어 성장을 하여 경력 개발 기회로 활용을 해야 합니다.

  4) 동료 및 상사와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어야 해요. 즉,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반응형

4. 마치며

 add증후군과 신드롬은 조직 축소 이후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이를 방치하게 되면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가 있습니다. 특히 개인 같은 경우엔 긍정적인 마인드를 활용하여 이를 계기로 어떻게 극복하고 성장의 기회로 대해 생각을 하여 더욱 더 성장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아요! 


오늘의 글은 여기서 마무리를 하며 내일은 또 다른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어제보다 오늘 더

오늘보다 내일 더 나은

블로거가 되겠습니다.

 

건강에 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를 참조해주세요!

 

통풍약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통풍약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음식으로 섭취되는 퓨린이 우리 몸속에 흡수가 되면서 요산이 되고 요산이 콩팥에서 걸러지지 못하여 체내에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병인 통풍, 흔히 바람만 불어도 통증이 생긴다 라는

record3528.tistory.com

 

루테인의 효능과 고려은단 vs 종근당

 

루테인의 효능과 고려은단 vs 종근당

안녕하세요~  요즘 현대인들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화면을 장시간 응시하면서 눈의 피로를 쉽게 느낍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눈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중에서도 루테인은 필수적인

record3528.tistory.com

 

폴리코사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폴리코사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쌀쌀한 날씨 속에서 시작된 새로운 한 주 다들 어떻게 보내셨나요? 지난주와는 다른 날씨와 체감온도로 인해 살짝 당황하셨으리라 싶어요. 확실히 벚꽃이 피기 전까진 추위를 방심하면 안 된다

record3528.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