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식목일 행사와 공휴일 유무에 대해 궁금하다면?!

RU_Rich 2025. 3. 5. 00:10
반응형

한 달 후면 벚꽃이 피고, 들판과 산은 푸른색과 초록색으로 변합니다. 들판과 산이 푸른색과 초록색으로 되기까지 많은 노력이 있었는데요! 그건 바로 '식목일' 덕분이었어요. 그래서 오늘은 봄을 맞아 식목일에 대해 알아보며 식목일 날 행해지는 행사와 그리고 식목일 공휴일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식목일이란?

 식목일이란, 매년 4월 5일 나무 심기를 통하여 국민의 나무 사랑 정신을 북돋우고, 산지(山地)의 자원화를 위하여 제정된 날입니다.

 


1. 식목일의 유래

 나무를 심고 가꾸는 것을 장려하기 위해 지정된 국가 기념일인 식목일은 1949년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제정이 되었으며 이때부터 매년 4월 5일엔 전국적으로 나무 심기 행사가 열리게 되었어요. 

 


2. 왜 4월 5일일까?

 4월 5일이 식목일로 정해진 이유에는 여러 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설 중 하나는 고려 시대 광종이 처음으로 백성들에게 나무를 심도록 장려한 날이라는 점입니다. 또 다른 설로는 조선 시대 윤휴가 왕에게 나라를 튼튼히 하기 위해서는 산림을 보호해야 한다고 건의한 것이 4월 5일이었다고 전해지고 있어요.

 

반응형

3. 식목일의 변화와 현재

 1960년에 식목일을 공휴일에서 폐지하고, 3월 15일을 ‘사방(砂防)의 날’로 대체 지정하였으며, 1961년에 식목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어 공휴일로 부활되었어요. 1982년에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나, 2006년부터 다시 공휴일에서 폐지되었지만 환경 보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다시 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오늘날 식목일에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환경 단체 등이 주도하여 전국적으로 나무 심기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학교에서도 학생들에게 환경 보호와 숲의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을 강화하고 있어요.

 


4. 식목일 행사와 의미

 4-1. 행사

  1) 식목일에는 나무를 심는 날이기 때문에 정부나 환경 단체에서 주최하는 나무 심기 행사에 참여를 하여 직접 나무를 심어볼 수가 있으며 나무 외에도 꽃의 씨앗을 심는 등의 활동을 할 수가 있어요. 

 

  2) 외부에서 주최하는 행사가 아니더라도 집에서 화분에 식물을 심어 꾸준히 가꾸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에요.

 

 4-2. 의미

  나무를 심고 가꾸는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가 있으며 더 나아가 환경보호, 자연재해 예방 그리고 생태계 보호에 관심을 가질 수가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가 있어요.

 


5. 마치며

 식목일은 단순히 나무를 심는 날이 아닌 우리가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고 실천하는 날이기 때문에 작은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과 화분에 식물을 심어 가꾸는 것은 미래 세대에 푸른 지구를 선물하는 첫걸음이 될 수가 있어요. 2025년 식목일에는 행사에 참여하여 나무 한 그루를 심어보거나 조용히 집에서 화분에 씨앗을 심어 꾸준히 가꾸는 등의 활동을 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오늘의 글은 여기서 마무리를 하며 내일은 또 다른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어제보다 오늘 더

오늘보다 내일 더 나은

블로거가 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