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이 시작된 지 벌써 25일이 되었고 며칠 뒤면 민족 최대 명절인 설날이 다가오고 있어요. 하루, 한 달 그리고 한 해를 위해 세워둔 계획들은 착실히 진행이 되고 있으신가요? 오늘의 주제는 바로 '설날'에 대해서 알아보기입니다.
먼저, 설날이란?
한 해의 시작인 음력 1월 1일을 일컫는 말로 설날이라는 말과 같은 우리나라의 명절이며 같은 말로써는 설날·원일·원단·원정·원신·원조·정조·세수·세초·연두·연수·연시·신일·달도·구정 등이 있어요
목차
1. 설날의 유래와 의미
2. 설날의 기간
3. 주요 풍습
4. 전통 음식
5. 설날 관련 금기 사항
6. 마치며
1. 설날의 유래와 의미
먼저, 설날의 '설'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지만, 조심스럽고 경건하게 행동해야 하는 날이라는 뜻에서 나왔을 것이라는 게 대부분의 추측이며 또는 '설다 (익지 않다, 낯설다.)'라는 단어에서 유래가 되었다는 설도 있어요.
그리고 설날은 한 해의 첫날로서 새로운 시작을 알리고 한 해 동안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날이에요.
2. 설날의 기간
설날은 음력 1월 1일이며, 일반적으로 설날 전후로 3일을 연휴로 보내게 돼요. 2023년부터 설날이 주말과 겹칠 경우 대체공휴일 제도가 적용이 되어 연휴가 늘었어요. 특히 올해는 1/27일을 대체 공휴일로 지정이 되면서 1/31일 하루만 연차를 사용하게 되면 무려 9일이나 쉴 수가 있기 때문에 해외여행이나 가족 간의 여행을 많이 계획하고 있어요. (설 연휴 1/28~1/30)
3. 주요 풍습
설날의 주요 풍습으로는 차례 지내기, 세배하기, 성묘 가기, 떡국 먹기 그리고 전통 놀이가 있어요.
3-1. 차례 지내기
차례는 조상에게 예를 표하는 방법으로서 설날 당일 아침에 조상의 위폐나 사진 앞에서 음식을 차려 놓고 지내게 됩니다. 이러한 차례를 통해 조상의 음덕을 기리고 한 해의 복을 기원하죠.
3-2. 세배하기
차례가 끝난 뒤 가족 간의 세배를 올림으로서 서로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기도 해요. 특히 어른들은 세배를 받은 자녀에게 세뱃돈을 주며 덕담을 나누기도 한답니다. (세배하는 방법을 사진으로 대체하니 보시고 따라 해 보세요.)
3-3. 성묘 가기
성묘는 조상님들의 묘를 방문하는 것으로서 묘 주변을 정리함으로써 조상들께 예를 표한답니다. 이러한 성묘는 설날 당일 또는 설 연휴 기간 중 이 루어 저요.
3-4. 떡국 먹기
설날 아침엔 떡국을 먹음으로써 한 해를 시작합니다. 떡국을 먹는 이유는 긴 가래떡은 장수를 뜻하고, 하얀 국물은 깨끗한 새해를 상징하기 때문이죠. 또한 떡국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는 의미도 있답니다.
3-5. 전통 놀이
설날의 전통놀이는 무엇이 있을까요? 흔히 아시는 윷놀이가 대표적이며 그 외에도 연날리기, 팽이치기 그리고 제기차기 등이 있어요. 특히 연날리기는 바람이 좋은 설날에 연을 띄우며 새해의 소망을 비는 놀이로서 요즘엔 많이들 하지 않지만 과거엔 많이들 연을 날리며 놀았답니다.
4. 전통 음식
설날 당일에 먹는 또는 연휴기간에 먹는 전통음식은 무엇이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떡국이 있으며, 전, 나물 그리고 한과가 있어요.
5. 설날 관련 금기 사항
설날 당일 또는 연휴에 금기 사항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그것은 바로 함부로 말을 하지 않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새해 첫날이면서 동시에 가족 간의 안녕과 번영을 나누는 자리에서 말을 함부로 하고, 조심스럽지 않은 태도를 하게 된다면 부정 탄다고 하겠죠? 그래서 부정적인 말을 삼가고, 새해 첫날에는 집을 깨끗이 유지하며 긍정적인 기운을 받는데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금기 사항입니다.
6. 마치며
오늘은 며칠 있을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날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설날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중요한 전통적인 명절로 조상에 대한 예를 표하며 가족과 함께 한 해의 시작을 기념하는 뜻깊은 날인만큼 명절 연휴 기간엔 모두가 웃으면서 보냈으면 좋겠어요.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형태는 변화했지만 가족 중심의 명절이라는 본질은 계속해서 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어제보다 오늘 더
오늘보다 내일 더 나은
블로거가 되겠습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적금 통장에 대해서 알아보기 (1) | 2025.02.01 |
---|---|
영수증을 받을 때마다 100원씩 돌려받고 싶다면?! (1) | 2025.01.29 |
며칠전 4계절의 절기 중 마지막 절기였던 것은?! (1) | 2025.01.21 |
예수금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25.01.18 |
환율로 이득을 보고 싶다면?! 이것을 꼭 알아야만 합니다 (1) | 2025.01.15 |